업무이야기/품질교육

전직원 품질교육(첨부포함)

노래하는 품질왕 2013. 5. 28. 21:37

예전 품질을 처음 접하고  품질교육을 처음으로 진행할때,,

자료 찾기가 그렇게 만만치 만은 않다는것을 느끼고 언젠가는 좀 상세히

기록해서 올려보면 어떨까?" 생각하다가.. 이렇게 pc앞에 앉았다.

언제 끝날지 모르겠지만. 적어 보련다..ㅋㅋㅋ

 

우리 회사 전직원 (16명)을 대상으로 두번째 품질교육을 진행했다..

 

이 회사에 입사한지 이제 11개월째.... 입사하고 3개월후 첫번째 품질교육을 진행하였는데.....반응이 참 좋았다.

 

해서 곧바로 2차 품질교육을 진행하려 했지만... 역시나 중소기업의 실정상  혼자서 품질업무를 보는데...

 

시간내서 자료 만드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는것....

 

 하지만, 품질교육은  제조업의 필수 --> 관리자와 작업자가 같은 기준과 마인드를 가지고 일해야 된다고 생각하는 1人 으로

 

반드시 교육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자료와,  이곳에서 만든 자료들을 취합해서..

 

2차 품질교육 자료 36장 분량의 PPT를 완성한 후 사장님 결재 득한후  교육을 실시 했다.

 

위의 사진처럼  5/7 오전 10:40 부터 이지만  모이는데 10분 지체하여  10시50분

 

에 시작했다.

 

 

 

2차품질교육을 설명하기 이전에 잠시 ..........

 

작년9월의 1차 품질교육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했는데 설명보다는 청취자와의 소통에 POINT를 주고,

 

간단히 대답할수 있는 질문을 중간중간에 넣어서....집중력이 떨어지지 않도록...순서를 정했었다...

 

일일이 다 설명할수 없어서 내용은 PASS

 

아래는 1차 품질교육때의 순서이다.

마지막은  " 닉부이치치동영상"으로  작업자들에게  조금은 희망의 메세지를  또는 삶에 대한 동기부여를

 

주기위해 연출해낸  교육 배치 였다.

 

 

 

요기까지, 품질교육 1차 때의 내용이고,

 

 

 

 자 그럼 2차 품질교육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 나가겠다.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일방적 교육이 아니고  쌍방간 의사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되기에

 

최대한 포커스를 쌍방간 소통에 맞추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숙지해야 될 내용도 있기 때문에 50:50 정도로 적절히 배분해서 배치  <--- 요게 굉장히 중요

우선적으로 교육 순서는 아래와 같이 배분했다.

"OOO의 법칙" 은  청중에 의문점과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더 나아가  질문으로 이어져

 

저 "OOO"을 맞추는 사람에게  개인적으로 사비를 통해 준비한 커피(악마의 유혹 - 카푸치노맛)

 

를 주겠다고 약속하니,, 거의 눈에 레이져를 켜고 관심을 가졌다. 

 

바로 일방통행 교육이 아니라 쌍방간 소통의 교육이라고 말할수 있겠다.

 

  항상 처음 시작이 중요한데.. 처음이 재미 없으면  집중도가 항상 떨어지기 때문에...ㅋㅋㅋ

 

여튼 아래 사진을 보고 여러분도 한번 맞춰보시라.. 이것이 무슨 법칙인지?

 

 

 

 

 

 

 

 한번 맞춰보세요^^*

 

여기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위의 내용도 설명시  저렇게 보여주는 것은 아니고... 그림과 단락이    없는 상태에서 하나씩 생겨나는 형태로 설명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슬라이드쇼에서 레이져펜의 버튼을 누르면 하나씩 생겨나는-----이거 아시죠PPT만의 매력인거)

 

네 바로 정답은 파레토의 법칙 ...

 

마지막 빌프레도 파레토라는 사람이 발견 이라는 내용이 나오기 전까지는 아무도 모르더라구요....

 

결국은  해외영업부의 사원이 맞추었네요... 맞춘사람에게 주는 상품,   커피를 주니   모두들  부럽게 쳐다 보네요..ㅋㅋㅋ

 

 

 커피 하나를 주고   나머지 봉투에 담긴 3개의 커피를 더 보여 주니  다들 초 집중하게 되었죠.ㅋㅋㅋ

 

 쌍방간 소통의 중요한 핵심 포인트라 생각합니다.

 

파레토의 법칙은 나중에 얘기 하겠지만, 그냥 집중하기 위해서 만들어 낸 내용만은 아니라.

불량 줄이는 방법과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내가 기획한 내용이다..(중간에 보면 알것이다.)

 

 

계속해서 청취자들의 급 관심 속에서 교육이 진행 되었습니다.

 

2번째로 우리회사의 불량율에 대해서 설명했는데요.. 여기 부분은 좀 딱딱하네요..

하지만 PPT의 강점을 이용해...빨간색 화살표와.. 동그라미와...눈에 띄는 색을 총동원하여.....

아래와 같이 불량 집계표를 설명해 주고...

 

 

 

이렇게  각 표의 내용들을 자세히 설명해주고....

 

그리고 나서,, 옆의 그래프로 나타낸 부분을 설명해 준다.....

 

여기서 알아야 될것이  우리가 품질 집계를 하는 이유를 알아야 된다.

핵심은 이거다고 생각된다.

품질 집계를 하는 이유는 어떤 불량이 가장 많은지를 파악해서.....

그 많은 불량 내용 부터 줄여 나가기 위해서다

 

이때 바로 앞서 배웠던 "파레토의 법칙"을 적용시켜주는 것이다.

 

아래 그림은 위의 그림중 오른쪽 그래프만을 가지고 온 그림이다.

 

이그림을 가지고 설명을 해야 된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 불량들을 줄일 수 잇는가?" 에대해서  같이 생각한다.

물론 준비한 당신은 미리 알고 있어야  겠지요 ^^*

아래 내용처럼 눈에 확띄게  보면서 생각하게 만든다.. ^^*

 

 

그리고는 불량 1위 부터 대략 전체불량의 20% 정도까지를  눈에 확띄게 아래와 같이 표시해주고.. 

 

 

이후에  가장 많은 불량순으로 불량내용과 원인 그리고 대책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표시해 주면서

자세히  설명해 준다.

 

 

위 그림의 내용에서는 대책의 대부분이  외주업체의 품질을 강화 하는 내용으로

거기에 따른 방법을 얘기해준다

 

 

외주업체 품질강화 하는 방법은

아래 사진과 같은 방법으로 강화 할수 있다.

 

 

그리고는 여기에 대한 내용은  당신들이 신경쓸 필요 없고 품질에서 진행 하는 것이다"라는 멧세지로

교육받는 사람들에게 안심을 주면, 크게 거부감 없이 들을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얘기한  "파레토의 법칙" 과  불량집계와 의 연관성을 애기 해 보았는데.....

요는 상위 20%의 불량을 잘 관리해도  80%의 불량을 줄일수 있다는 내용이다.

아래 그림과 같이 파레토 도[불량의 누적점유율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것] 를 보면  우리회사의 불량

상위 20%정도가  전체의 약 73%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 여기서 알아 두실것은  꼭 80%를 딱 맞춰서 차지하는것은

아니라는것을  말해둡니다 ㅜㅜ]  ....... 나 왠지 신빙성이 좀 떨어지고 있다 ...ㅋㅋㅋ

 

 

아래 그림처럼 불량과 파레토의법칙의 연관성애 대한 결론을 내려 본다. 

 

이렇게 아이템별 불량율에 대한 내용을 설명했고,

이어서, 유형별 불량율, 또 다른 불량내용에 대한 간단한 내용을 만들어 설명해 주는것도 좋을듯 하다.

 

이렇게 우리 회사에 대한 불량내용에 대해 설명이 끝나고

 

산포에 대한 얘기를 했다.

아마 작업자들이 좀 어려워 하는 내용이라서.......정말 초등학생도 이해하기 쉽도록  준비를 해보았는데....

 

일단  설명해 보겠다....

 

이해하기 쉽도록 우리 회사의 공정검사시 확인하느 "진동값"을 가지고 설명을 했다.

아래의 내용처럼 두군데의 업체중에서 더 품질이 안정적인 업체를 선정하여 발주를 주려고 하는데

B회사와M회사다.

두 회사의 진동값은  사진에서처럼   DATA와 평균값이 나온다.

당신이라면, 어떤 회사를 선택하겠는가?  --> 여기서 질문하나를 던진다.. 쌍방간 소통의 2번째다.

 

일단 여기서 한사람씩 질문을 던지거나, 거수를 통해서 전체의 생각을 물어보는것도 괜찮다.

일단 우리회사에서는 남자들 몇몇과 여자들 전부가 B회사를 선택했다.

그렇담 정답은 ??

바로 가르쳐 주면 절대 안되지.....ㅋㅋㅋ

 

지금부터  산포이야기이다..

그림에서 A와 B의 병사중 누가 평균값이 더 좋은 사람인가?

 

 

정답은 아래 그림의이유처럼 A이다.  

그렇담 A.B중 편차가 더 큰것은?

마찬가지로 정답은 A이다.

 

그렇담, 누가 더 잘 쐇나요?  라는 질문을 하면서....각자에게 전부 물어본다.

우리회사에서는 여자들은 전부A가 잘 쐈다고 했으면... 군대 갔다온 남자들도 일부는 A라고 말햇다.

 

정답은 바로    B 가 잘 쐇다고 말할수 있을것이다.

A는 산포가 심하고, B는 산포가 적기 때문이다는것..

여기서 산포는 흩어지는 정도를 말하는데... A처럼 과녁을 맞추면 군대에서 욕처먹는다.

B처럼 맞추면,  총구위치만  왼쪽으로 조금만 옮겨 주면 된다.   그래서 군대에서는 "A보다 B 병사를 보고

더 잘 쐈다" 라고 말할것이다.

 

그렇다면 산포이야기의 처음에서 B회사와M회사중  선택하라 했을때... 우리는 어디를 선택해야 할지를

알것이다.

결론은 아래그림처럼....신뢰성에 관한 충실도는 M회사가 더 좋으므로M회사를 선택할 것이다.

 

 

이것을 그래프로 나타내보면 조금더 잘 알수 있을것이다.

 

 

B회사는 SPEC에서 벗어날 여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작고, M회사는 평균은 조금 높지만

SPEC을 벗어날 가능성이 많이 작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고 말할수 있다.

 

이렇게 산포의 개념은  .........흩어지는 정도이며..

DATA의  산포가 클수록 신뢰성은 작고, 산포가 작을수록 신뢰성이 높다는 내용만을 이해시키면  충분히

오늘 교육의 성과는 있다고 생각 한다.

 

그리고 이어서..조금더 깊숙이 들어가

위에서처럼 SPEC을 벗어날 가능성이 있는가?"를  좀더 정확히 알아 보기 위해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CPK값이라는 것을 이야기 해주고.....

CPK값에 대한 설명을 해줄 필요는 없으며, 다만, CPK값이 얼마 일때, 어떤 의미인가 만을 설명해주면

될것이다. 아래와 같이 말이다.

1.67과1.33과 1.0

 

 

ㅋㅋㅋ  우리회사의 CPK값은

0.6~0.9 수준이다. ㅋㅋㅋ 말이아니다.  시스템 전체의 개선이 필요한 수준이지만,

관련내용을 항상 전수검사를 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 될것은 없지만, 항상 주의를 해야 되는 측정값이다..

ㅋㅋ

 

이렇게 CPK에 대한 내용을 강하게 얘기해주고,,, 나중에 질문은"CPK값이 뭐냐?" 또는"매우 안정적으로

생산되어지고 있는 CPK값은 얼마인가 ?" 라는 질문으로  맞춘사람에게  선물을 주면 될것 같다.

 

헉헉.......하하 여기까지 너무  힘들다....... 이렇게 상세히 쓰려는 의도는 아니였는데...

쓰다보니..넘 길어졌네...ㅋㅋ

 

하지만 ..... 품질교육이 필요한 사람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적어 봅니다.

 

이렇게 사실상 필요한 교육은 마무리했구요....

 

마지막으로  마인드 교육으로 90대 10의 원칙을 설명 했는데요..

 

인터넷에 찾아보면, 관련 자료를 충분히 얻을 수 있을 거에요.. 저는 이 동영상을 수정하다 보니까.. 조금 이상하게 진행되어서 약간은 아쉬웠는데요..

 

다른 내용을 첨가 하셔도 무방하리라 봅니다..

 

끝까지 읽어 주신 분들께는  진심 감사의 말을 전해 드리며.........꼭 wiew on  을  눌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리고 이내용과 관련 한 PPT 자료 첨부해서 올려드릴테니 품질교육을 진행코자 하는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감사히 글을 마감할게요..^^*

 

아참  아래 첨부자료(PPT 자료)는 완성 자료로.. 슬라이드쇼로 진행하기 위해서 만든것이므로 

 

사용자의 내용에 맞추려면 사용자 지정 에니메이션으로  내용을 수정하셔야 합니다.

 

2차품질교육 130507.ppt

 

첨부파일 다운로드시 주의할점[ppt초보자에게]

PPT다운로드 받은후 파일을 보시면, 중간에 지저분하게 무슨 글인지 겹쳐져 있는 SHEET들이 있을겁니다.

이내용은  슬라이드쇼로 보시면  왜그렇게 지저분한지를 알수 있을겁니다.

 

정말 힘들게 만들었는데...댓글 및 추천부탁드립니다. 그럼 더 좋은 자료들을 올릴 원동력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꾸벅^^*

 

 

2차품질교육 130507.ppt
6.93MB